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비트코인시세 전망 차트 기술적 분석 떡락 업비트 35,890,000원 지지선 붕괴

비트코인시세가 4800만원이었던게 얼마전같은데 지금은 3589만원이네요..ㄷㄷ 역시 비트코인은 롤러코스터...

1월20일 매일경제 뉴스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 투자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

가상화폐 대장인 비트코인과 테슬라 등 뉴욕 증시 간판 기술주 주가가 거품이라고 본다는 결과도 나왔다네요.

19일 CNBC는 독일계 투자은행 도이체방크 설문조사를 인용해 자산운용가등 투자전문가들은 비트코인 시세와 기술주 주가가 앞으로 1년 내 오를 가능성보다는 떨어질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네요.

 

오늘 업비트의 비트코인 차트 1분봉인데요, 어제까지만해도 횡보하는듯하다, 오늘 오후 5시부터 정말 급격하게 400만원정도가 훅 빠지더라구요 ㄷㄷ

이건 30분 봉입니다

30분봉을 보면 1월9일날 최고점 찍고 12일날 3500만원까지 훅 빠졌다가 다시 좀 오르더니 다시 빠지고 있네요

어제 동생보고 10만원가지고 단타쳐보라고 하려다가 30일이내 계좌개설 2개 안되서 그냥 안했는데

했으면 10만원 다 날라갔겠다는 생각이..

이걸 캡쳐할때만 해도 36388000원이었는데 지금은 100만원정도가 더 내려갔어요

몇억으로 비트코인 하면 참 재밌겠죠?ㅎㅎ

이건 비트코인이 2017년말~2018년초 한창 과열됬을때 커뮤니티에 돌아다녔던 하이먼민스키 모델입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2000만원을 찍고 2750만원까지 찍고 

제가 아직도 기억하는데 2018년말에.. 2억간다는 말이 많았죠

근데 2억은 무슨 .. 600만원 아래까지 떨어지더니 

정말 오랜기간동안 지루한 횡보를 했었죠..

저는 2018년 2월 초고점일때 비트코인을 처음접해서

그당시 정말..쓴맛을 보고^^ (근데 대단한게 손절은 안했음ㅋㅋㅋㅋㅋㅋ그래서 이제와서 결국 3배됨ㅋㅋㅋ)

비트코인이 600만원 이렇게 까지 떨어졌을때 진짜 비트코인이 망한줄 알았어요.. 그때 샀어야 했는데^^

 

3년전 비트코인 글들을 찾아보니,정말 그때 말이 맞았네요..^^
3년전 비트코인이 떡락할때 커뮤니티 사람들이 하이먼민스키 모델 그래프를 퍼나르면서

"지금 비트코인의 거품이 꺼져가고 있고, 현재 투매 단계와 좌절 단계 사이에 있으며, 오랜 기간 횡보와 세력 매집을 거칠것이다. 그리고 4년 주기로 찾아오는 비트코인 반감기과 함께 몇년 뒤 새로운 하이먼 민스키 모델을 그리며 유래 없이 폭등할 것이다"라고 했거든요.

그리고 "큰 상승 후 폭락 및 긴 기간의 세력 매집이 없으면 주가가 계속해서 상승할 수 없으며 과거 비트코인 차트를 보면 오랜 기간 매집을 통해서 이렇게 크게 상승할 수 있었고, 이제 장기간 빙하기에 접어들 것이다"라고 했다네요

와진짜 ...3년이 지난 지금 보니 소름이네요 ㄷㄷ ..예언이었음..

비트코인에 대한 믿음이 있으셨던 분들은 돈 엄청 버셨겠죠..

 

그럼 다시 2021년으로 돌아와서 비트코인시세를 살펴볼게요.

1월부터 지금까지 차트를 살펴보면 삼각 수렴차트의 형태를 띄고 있었죠.

그래서 지지선이 깨지면 더 폭락할꺼다..이런말이 있었는데요

지지선이 깨진것 같네요 제가 보기엔..

추가하락이 예상되고요..

저는 그저께 비코는 팔았어요 (그래봤자 230만원어치지만...)

하지만 저는 비코가 1억이상 갈거라는 믿음은 있기때문에 

저점 다시 잡고 싶은데 1000만원 이하로 떨어지겠죠?

이번년도엔 어디까지 떨어질지 궁금하네요...

 

도이체방크가 전문 투자자 6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을 보면 전체 응답자 중 89%가 `금융 자산 일부가 거품`이라고 판단했다고 해요. 또 테슬라 등 주가가 앞으로 12개월 내 2배가 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8%에 그쳤고, 반 토막이 될 것이라고 답한 경우는 62%였다. 비트코인도 2배 오를 것이라는 전망(25%)보다 반 토막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 경우(56%)가 압도적이었다네요.

그건 저도 동의 합니다만, 반토막 말고 반의 반토막 나지 않을까요?


거품 규모를 10점 만점으로 평가했을 때 비트코인은 응답자 중 절반이 10점을 매겼다고 해요. 평균은 8.7점이라고 합니다. 또 테슬라 등 미국 기술주는 평균 7.9점을 받았다고 하네요

 

한편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71%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말까지 긴축 통화 정책을 펴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이른바 가장 큰 `꼬리 위험` 요인으로는 백신 접종 문제를 꼽았다고 하구요
응답자 중 41%는 "백신 접종이 기대치에 못 미치며 연말까지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지 못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습니다. 꼬리 위험은 일시적 사건이 자산 가치 급락을 가져올 수 있는 리스크를 부르는 말이라네요.

 

비트코인 반감기? 비트코인 가격과 무슨 상관이 있나

비트코인의 창시자 나카모토 사토시는 2009년 비트코인을 설계할 때 일정 시기마다 보상으로 주는 비트코인 개수가 반으로 줄도록 했습니다.비트코인 반감기는 4년에 한 번이죠. 비트코인은 컴퓨터에서 복잡한 암호를 풀면 그 대가로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구조인데, 반감기를 통해 신규 공급량을 조절합니다. 또 비트코인의 발행 예정 총량도 2100만개로 상한선이 정해져있구요. 종이 화폐처럼 중앙은행이 마음대로 발권력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은 양이 한정되어 있기때문에 금같은 자산이랑 비슷하다고 비유되기도 하죠.

비트코인은 과거 두 차례 반감기 때 가격이 올랐는데요.

2012년 11월 첫 번째 반감기 때 비트코인은 이듬해인 2013년 12달러에서 1100달러대로 폭등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반감기(2016년 7월) 이후에도 상승세였죠. 660달러에서 2017년 말 1만9000달러까지 폭등했습니다.